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2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기준금리(5.25~5.5%)를 7회 연속 동결했습니다.
이는 경제 상황과 물가 상승률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연준의 의도를 반영한 결정입니다.
이번 결정과 관련된 다양한 의견과 전망을 통해 연준의 금리 정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연준의 금리 동결 배경
지난 16일(현지시간), 미니애폴리스 연방은행의 닐 카시카리 총재는 CBS 방송에 출연하여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그는 연준이 올해 금리를 한 차례 내릴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12월까지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카시카리 총재는 "물가상승률이 연준의 목표치인 2%로 둔화되고 있다는 추가 증거를 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연준은 이달 1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5.25∼5.5%로 동결하며, FOMC 위원들의 분기 점도표를 공개했습니다.
점도표는 FOMC 위원들이 각 연도별 연말 기준으로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금리 전망치를 점으로 찍어 표현한 자료입니다.
점도표와 금리 전망

지난 3월에 공개된 점도표에서 FOMC 위원들은 올해 3차례 금리 인하를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12일 점도표에서는 올해 금리가 내려가더라도 1차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습니다.
올해 남아있는 FOMC 회의는 7월, 9월, 11월, 12월까지 4차례입니다.
이로써 올해 중 금리 인하가 이루어질 가능성은 점점 더 줄어들고 있습니다.
카시카리 총재는 연준이 인위적으로 돈을 풀어 시장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면서, 금리 인상을 통해 통화 공급을 줄여야 한다는 매파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그는 지난해 FOMC 회의에서 금리 투표권을 행사했지만, 올해는 투표권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발언은 연준의 금리 정책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제 지표와 금리 인하 가능성
카시카리 총재는 "우리는 어떤 결정을 하기에 앞서 시간을 갖고 더 많은 물가상승과 경제, 노동 시장 관련 지표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연준이 2022~2023년에 금리를 공격적으로 높여 가계 및 기업의 차입을 억제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고용시장이 탄탄하게 유지된 것에 놀랐다고 말했습니다.
카시카리는 "완만한 냉각 과정을 거쳐 균형 잡힌 경제로 돌아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고금리에 따른 주택 시장 냉각에 대해서는 “지금 당장 주택 소유를 지원하기 위해 금리를 인하한다면 주택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금리 인하로 “주택 구입이 쉬워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카시카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물가상승률을 목표치까지 낮추는 것이며, 그러고 나서 경제의 공급 측면에서 미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주택 건설을 위해 나서줄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와 향후 전망
이달 12일 공개된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3.3% 상승하여 4월 상승률 및 시장 전망치(3.4%)보다 낮았습니다.
이는 연준의 2% 목표치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클리블랜드 연방은행의 로레타 매스터 총재는 14일 인터뷰에서 최근 물가상승률을 언급하며, "금리를 인하하려면 긍정적인 물가상승 지표를 몇 달 더 봐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매스터 총재는 "물가상승률을 2%로 완전히 되돌리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2026년까지는 2%에 도달하지 못하겠지만 진전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러면 이제 금리 인하를 시작할 때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결론
연준의 금리 정책은 현재 경제 상황과 물가상승률을 면밀히 고려한 결정으로, 금리 인하는 올해 연말까지 기다려야 할 가능성이 큽니다.
연준이 금리를 동결한 배경과 향후 전망을 이해하는 것은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입니다.
지속적인 경제 지표와 연준의 정책 변화를 주목하며, 미래 경제 상황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돈의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리스크와 원·달러 환율 시장의 변동 (28) | 2024.07.18 |
---|---|
인텔 주식 기대와 전망, 저는 오를 꺼라 생각합니다 (30) | 2024.07.09 |
비트코인, '1억원 돌파'를 향한 무서운 질주 (15) | 2024.03.05 |
한국의 분기 출산율 0.6% 역대 최저 우리나라가 망할 수밖에 없는 이유 (26) | 2024.02.28 |
2024년, 농축산·수산 분야의 새로운 동향과 정책 변화 (2) | 2024.01.12 |
댓글